더불어민주당 이개호 국회의원은 29일 조선대에서 ‘광주·전남 AI 산업 및 컴퓨팅 메카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조선대학원 과학기술융합학과와 공동주최하고, AI 기반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상생 전략과 지역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시사의창=송상교기자]
[시사의창=송상교기자]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국회의원은 29일 조선대학교에서 열린 ‘광주·전남 AI 산업 및 컴퓨팅 메카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조선대 대학원 과학기술융합학과와 공동 주최하며, AI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 상생 전략을 제시했다.
이개호 국회의원은 개회사에서 “이제 산업은 AI를 전제로 하지 않고는 성립할 수 없는 시대”라며 “산업과 생활, 연구 전반이 AI 기반으로 재편되는 대전환의 시기를 맞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 울산, 대전, 대구 등 전국 주요 도시가 초대형 데이터센터 유치에 나서며 AI 인프라 경쟁이 치열하다”며 “전남은 전력과 입지, 광주는 인재와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서로의 강점을 살리는 상생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개호 국회의원은 또한 “전남 서남권에 오픈AI와 SK가 협력해 3GW 전력이 필요한 20메가급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2028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라며 “이 시설이 완공되면 전남은 AI 기반 산업의 중심축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배상현 조선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김종권 한국에너지공대 소장, 조민호 고려대 교수, 양미애 조선대 교수가 발표자로 참여해 지역별 AI 산업 전략을 제안했다.
김종권 소장은 “AI와 녹색전환(GX)이 결합된 시대가 도래했다”며 “AI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민호 교수는 “광주에 자율주행·반도체 AI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전남의 컴퓨팅센터와 연계하면, 두 지역이 상호 보완하는 산업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
양미애 교수는 “전남은 농생명 산업의 중심지로, AI와 데이터를 접목한 스마트 농업으로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개호국회의원은 “AI 인프라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속도와 협력”이라며 “지역에서 키운 인재를 지역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개호 국회의원은 지난 9월 ‘전남 동부권 이차전지 산업육성 토론회’에 이어 이번 토론회를 통해 광주·전남의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송상교기자 sklove77@hanmail.net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
#이개호국회의원 #AI정책토론회 #조선대학교 #광주전남상생 #AI산업생태계 #컴퓨팅메카 #AI데이터센터 #전남산업전환 #광주AI연구 #에너지ICT #AI플랫폼 #스마트농업 #지역균형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