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비판은 문제점을 지적해서 기존 주장을 약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좋은 아이디어를 살려 더 강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요컨대 비판은 주장을 제대로 이해한 사람에 의해 제기되어야 하며, 구체적인 상대가 있다는 점에서 예의를 지켜야 합니다. -본문 중에서-

김원 지음 ㅣ 나무의철학 펴냄


[시사의창=편집부] 이 책은 단순한 말하기·글쓰기 기술서가 아니라, 고대 철학자들의 사고법을 빌려 누구나 말과 글을 설득의 무기로 바꿀 수 있는 18가지 도구를 제시한다. 소크라테스에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기까지 위대한 철학자들이 남긴 논리와 설득의 원리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해, 독자들이 일상 속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책이다.

철학자들의 말하기는 단순한 정보 전달이 목적이 아니라 함께 더 나은 답을 찾는 과정이었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당연한 답을 다시 묻고, ‘무지의 지’를 인정함으로써 대화를 탐구의 장으로 이끈다. 탈레스는 주장을 명료한 한 문장으로 세우고 타당한 근거로 강화했으며, 밀레토스 학파는 올바른 비판을 통해 상대의 주장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탄탄하게 만들었다.

헤라클레이토스는 갈등과 충돌을 피하지 않고 변증법으로 새로운 길을 찾았고, 플라톤은 스토리텔링과 사고실험을 통해 논리를 생생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귀납과 연역을 조화시켜 논리를 체계화하는 동시에, 말과 글은 반드시 윤리적 토대 위에 있어야 신뢰를 얻는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철학자의 도구는 상대를 꺾기 위한 기술이 아니라, 함께 더 나은 결론을 향한 길을 걸으며 신뢰와 가치를 만들어내는 힘이다. 책은 이를 통해 일상의 대화나 회사에서의 보고서와 발표 등 모든 말하기와 글쓰기에 적용 가능한 실천적 철학을 제시한다. 단순한 전달이 아니라 사람을 이해시키고 움직이는 설득력, 그것이 철학자의 말하기 기술의 핵심이다.

창미디어그룹 시사의창